-
2014. 11. 13렌더링 성능 향상 전체적인 로딩 속도는 동일한데 빈 페이지가 계속 보이다 갑자기 콘텐츠가 나타나는 페이지가 있고, 처음부터 콘텐츠가 조금씩 보이며 화면이 빠르게 나타나는 페이지가 있다. 콘텐츠가 조금씩 보이는 화면이 더 빠르게 느껴지는 것은 체감 속도 때문이다. 렌더링 성능 향상의 […]
-
2014. 11. 12파일 크기 최소화 파일의 개수를 줄여 HTTP 요청을 최소화했다면 웹 페이지 구성 요소의 크기를 어떻게 줄일지 알아보자. ### Gzip 압축을 이용한 파일 크기 최소화 점점 커지는 자바스크립트 파일과 스타일시트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이고 쉬운 방법은 파일을 압축하는 것이다. […]
-
2014. 11. 11HTTP 요청 최소화 HTTP 요청 최소화는 최적화에서 가장 기본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웹 사이트는 주로 마크업, 이미지, 스타일시트, 자바스크립트 등으로 구성된다. 각 구성 요소는 모두 웹 서버에 있다. 이 구성 요소를 사용자의 컴퓨터로 가져오는 데는 네트워크 비용이 든다. 네트워크 비용은 […]
-
2014. 10. 31UTF-8 인코딩 UTF-8은 대부분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인코딩이며 Unicode Transformation Format 8-bit의 약자이다. UTF-8은 가변폭 인코딩이며 라틴어 기반 문자를 효과적으로 저장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또한 UTF-16과 같은 좀 더 큰 고정폭 인코딩[^10]을 사용할 때보다 해당 문자들을 저장하는 공간이 […]
-
2014. 10. 30유니코드란? 유니코드에 대해 많은 사람들은 유니코드가 무엇인지 그리고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선입관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이러한 편견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 먼저 기본적인 원리부터 살펴볼 것이다. 그림 4.1보다 더 기본적인 표현을 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림 4.1 | […]
-
2014. 10. 29요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있어서 가장 뜨거운 주제는 국제화(internationalization)와 지역화(localization), 그리고 유니코드이다.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서비스할 때 다양한 국가의 언어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많은 잠재적 사용자를 잃게 될 것이다. 최근 조사에 의하면 전세계에서 영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약 오억 천만 명 정도로 알려져 […]
-
2014. 10. 24스프링 프레임워크는 프로그래밍 방식 및 선언식 트랜잭션 관리를 모두 지원한다. 프로그래밍 방식 트랜잭션 관리의 경우 스프링의 트랜잭션 관리 추상화를 사용해 명시적으로 트랜잭션을 시작, 종료, 커밋한다. 선언식 트랜잭션 관리의 경우 단일 트랜잭션 내에서 실행할 메서드에 스프링의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지정한다. 먼저 7-2절에서 […]
-
2014. 10. 01둥근 모서리를 사용하면 딱딱한 디자인을 부드럽게 만들 수 있지만 그동안 이미지를 사용해서 둥근 모서리를 구현하기란 쉽지 않았다. CSS3에서는 엘리먼트 모서리 중 하나 또는 전부를 둥글게 만들 수 있는 border-radius라는 간단한 속성이 추가됐다. 모질라와 웹킷 모두 최종 W3C 표준이 발표되기 전에 […]
-
2014. 09. 30드롭 섀도우는 2차원 디자인에 깊이감과 질감을 추가하기 위해 오랫동안 사용한 방식이다.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는 CSS3에서 제공하는 text-shadow 속성(표 6.5)을 지원한다. 이 속성을 사용하면 색상, 오프셋(x, y), 번짐, 텍스트 드롭 섀도우에 대한 블러를 정의할 수 있다. 이 속성은 현재 일부 브라우저에서 동작하지 […]
-
2014. 08. 201장 Express.js란 무엇인가? Express.js는 Node.js의 핵심 모듈인 http와 Connect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하는 웹 프레임워크다. 그러한 컴포넌트를 미들웨어(middleware)라고 하며, 설정보다는 관례(convention over configuration)와 같은 프레임워크의 철학을 지탱하는 주춧돌에 해당한다. 즉, 개발자들은 특정 프로젝트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어떤 것이든 자유롭게 선택할 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