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북스 트위터(@developerfarm)의 2014년 29주차(2014. 07. 14 ~ 2014. 07. 20) 소식을 정리했습니다.
-
프로그래밍 일반
- 해커가 되는 방법: "How To Become A hacker"의 한국어 번역
- 좋은 프로그래머가 보유해야 하는 역량: What Makes a Good Programmer?이라는 글의 요약본
-
프로그래밍 언어
- An Introduction to Swift: Part 1: Swift 언어 소개 - 1부. 철학, 파일 구조, 문법, Objective-C와의 유사성, 변수/상수 정의, 문자열, 배열/딕셔너리 소개
- Ten Useful Techniques in Go: 유용한 Go 프로그래밍 패턴 10가지
- Go by Example: 예제로 배우는 Go 언어
- Spring ChainedTransactionManager 어떻게 사용해야 하나?: ChainedTransactionManager 사용법 정리
- c# 데이터 서버 라이브러리 구현
- Learn Socket Programming with Python: 파이썬을 이용한 소켓 프로그래밍
- JavaScript Debugging for Beginners: 자바스크립트 디버깅 기초
- Express - node.js 웹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http://expressjs.com의 한국어 사이트
-
iOS/안드로이드 개발
-
아키텍처
-
웹 기술/개발
- Chrome 개발자도구 – 소소소한 팁
- AngularJS: A Detailed Guide for Beginners: 초보자를 위한 AngularJS 기초
- Best Practices for Building Angular.js Apps
- 30 Efficient jQuery Lightbox Plugins: 30가지 라이트박스 플러그인
- 15 Things You May Not Know WordPress Can Do: 워드프레스 활용법 15가지
-
리눅스
- 꼭 필요한 리눅스 명령어: 유용한 리눅스 명령어 모음
-
UX/UI
- 5 design tips for startups: 스타트업을 위한 디자인 팁 5가지
-
테스트
-
도구
- hello #git notes: git notes를 잘 쓰는 방법
- flowtime.js 프레젠테이션 프레임워크
- iTerm2 2.0 released: 인기 있는 맥 OS X용 터미널 프로그램인 iTerm의 후속 버전 출시
- PDFy – Instant PDF Host: PDF 전용 호스팅 서비스
- StarUML Beta 4 출시
- 버전관리를 들어본적 없는 사람들을 위한 DVCS - Git: 버전 관리와 Git에 관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한 슬라이드
-
팁
- How to enter and use Emoji on Windows 8.1: 윈도우 8.1의 터치 키보드를 이용해 Emoji 입력하고 사용하는 법
- 타임 선정 2014년 최고의 안드로이드 앱 50
- 마이크로소프트 아웃룩에서만 Ctrl+F가 '전달'을 의미하는 이유: 원문은 이곳에서
- Access OS X's Secret Terminal Hidden in the Login Screen: 맥 OS X 로그인 화면에서 터미널 열기
- 기타
- 구글의 새로운 CJK Pan-CJK (汎韓中日) 글꼴을 소개합니다: 구글이 한중일 통합 폰트를 개발해서 배포했다는 소식
- 어도비, 오픈소스 무료 서체 ‘본고딕’ 출시
"누군가 인상적이거나 대단히 충격적인 경험을 했다는 사실을 알게되면 딱 두가지만 염두에 두자: 그들은 자신의 기억이 사실이라고 철썩같이 믿고 있고, 그 기억은 사실 정확한 사실은 아니라는 것."
"소비자들은 사이트의 모든 약관과 조건을 읽고 이해하려는 별도의 노력을 기울이고 싶어하지 않으므로 최소 저항 경로를 따라 사이트가 "나쁜" 짓을 하지 않으리라 믿어버리고 만다."
"사람들은 산수를 싫어한다. 그러니까 계산 과정 말고 해답을 바로 보여주면 이를 믿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해답이 불완전한 것이라도 말이다."
"백치(Bagchi)와 리(Li)는 목표까지의 거리가 동등한 경우, 사람들에게 더 큰 숫자 단위의 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 낫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1000포인트가 필요한 혜택에 1달러당 10포인트를 제공하는 것이 100포인트가 필요한 혜택에 1달러당 1포인트를 제공하는 것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이 목표에 가까이 다가가면서 더 큰 숫자로 인해 더 많이 진전한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 곧 출간될 ⟪사악한 디자인: 나약한 인간 본성을 교묘히 조종하는 심리학적 디자인 기법⟫에서 발췌
위키북스 트위터(@developerfarm)를 팔로우하시면 다양한 IT 관련 정보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